Baby Reflux (아기의 위산 역류)
금요일 엄마 모임의 장점은 매주 새로운 엄마들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새로운 엄마들이 나타나면 더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고, 다양한 생각을 공유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엠마가 더 많은 아기들을 볼 수 있게 된다.
자기 소개 시간. 새로 온 엄마들 중 한 명은 남미인으로 아직 이민 온지 얼마 안 되었는지 영어를 더듬 더듬 말했다. 그 엄마는 애기가 아직 3달 밖에 안 되었다고 했는데, 애기를 보니 3달도 채 안 되어 보였다. 머리숱은 엠마 두 배로 많은데 덩치가 매우 작았다.
그 엄마 말을 들어보니 아기가 reflux problem (위산 역류) 때문에 체중이 늘지를 않는다고 했다. 위산 역류 혹은 위 식도 역류 질환을 가지면 소화 되어 위로 넘어간 음식이 다시 입으로 넘어오는 증상을 보인다.이 엄마는 얼마 전 병원에 가서 아기가 위산 역류 문제를 겪고 있다는 소아과 의사 말을 듣고 그 자리에서 울었단다.
에고. (ㅠ_ㅠ)
그 마음 알 것 같다. 아기가 아플 때 제일 속상하다.
아기가 안 자겠다고 발악하며 울 때도 마음이 찢어지는데, 그 조그만 게, 얼마 들어가지도 않은 우유를 모두 게워내면 얼마나 안 쓰러울까?
그 엄마는 뭔가 좋은 조언이나 경험담을 듣고 싶어 이 모임에 온 듯했지만 불행인지 다행인지 오늘 모임에 나온 아기들 중 위산 역류로 고생한 아기는 없었다. 엠마도 그렇듯 가끔 먹은 것을 게워내는 것은 흔하지만 의사가 ‘위산 역류’이라 진단을 하는 경우는 흔치 않은 것 같았다.
질문을 던졌는데 대답 하나 듣지 못한 채 쪼그만 아기를 안고 있는 아줌마를 보니 더욱 안 쓰러운 마음이 들었다. 오늘은 위산 역류에 대해 알아보고 다음 주 그 아줌마와 이야기를 좀 해봐야겠다.
구글에서 찾아보니 위산 역류 질환으로 고생한 한 아기의 엄마가 블로그에 그와 관련해 글을 올렸다.
생후 2~3개월 딸 아이를 관찰해본 이 엄마는 아기가 위식도 역류 질환으로 고생한다는 진단을 스스로 내리고 동네 최고로 유명한 소아과 의사에게 찾아갔다고 한다. 근데 의사의 말은 ‘부모가 할 수 있는 일은 없고 그냥 이 증상이 끝나기를 기다리라는 것’.
참, 엄마에게 아픈 아기를 그냥 두라는 것만큼 무책임하게 들리는 말이 또 있을까? 그래서 이 아줌마는 스스로 인터넷을 뒤진 끝에 딸 아이 증상을 완화시켜 줄 많은 정보를 찾았다고 한다. 근데...그 정보는 블로그에 올리지 않았다. -_-;;
하지만 인터넷을 뒤지면 분명 좋은 정보가 나올 것이라는 희망은 얻었으니...도움이 전혀 안된 것은 아니다.
^^;
www.hidoc.co.kr에 따르면 위산 역류는 다음과 같은 질환이다.
정식명은 위식도 역류 질환(GER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우리가 입을 통해 섭취한 음식물은 식도를 통해 위에 저장되고 위에 저장된 음식물은 위산에 의해 잘게 무숴지고 소화효소, 위산과 섞여 십이지장으로 배출되고 이후 소장과 대장을 거치며 영양분과 수분 등이 우리 몸에 흡수된다.
(위산 역류로 음식물이 거꾸로 올라오면 결국 음식물의 영양분과 수분은 아기 몸에 전혀 흡수가 안 된다는 이야기!) 위와 식도 사이에는 괄약근이라는 근육이 있어 위 속 내용물이 식도로 올라오는 것을 막는데, 간혹 입을 통해 많은 양이 배출될 때 즉, 구토를 할 때는 위 속 내용물이 식도로 올라오게 되고, 위식도 역류 질환이 있어도 그렇게 된다고 한다. 이런 역류 과정이 반복되면 식도 점막에 손상이 나고 염증이 나 속 쓰림, 가슴 통증이 나타나고, 위산이 식도를 자극하거나 기도로 흡인되면 기침이 나는데, 안타깝게도 신생아와 유아에게 아주 흔한 질환이라고 한다.
위산 역류의 증상은 무엇일까?
위산 역류 질환을 가진 아기의 84%는 생후 1주일 내에 처음 증상이 나타나고 10%는 생후 6주 내에 증상이 나타난다. 흔한 증상으로는 보채기
(irritability, crying, screaming), 구토 (vomiting, regurgitating), 구역질 (gagging), 섭식 장애
(difficulty eating, breast/food refusal, difficulty swallowing), 고통 호소
(appearing to be in pain e.g. back arching 등을 아치형으로 구부리는 것은 고통을 완화하려는 아기의 몸부림),
창백, 기침 (caughing/wheezing), 체중 증가 부진(poor
weight gain, weight loss, or failure to thrive), 열, 딸국질 (repeated hiccups), 수면 장애 (sleeping issues), 설사 (diarhea), 트림, 성장 장애가 있다.
원인은 무엇일까?
위산 역류 질환을 지닌 아기의 경우 하부 식도 괄약근이 과다히 이완된 것이 근본 원인이라고 한다. 그럼 괄약근은 왜 이완될까?
미숙아인 경우, 식도 질환(GERD)을 가진 경우, 특정 음식에 예민한 경우
(food sensitivities), 폐쇄성 폐질환을 지닌 경우, 과식(breastmilk oversupply or forceful
let-down)이나 기침, 울음 등으로 복압이 증가한 경우 그렇단다. 아기가 과식을 하게 되면 위 내용물이 양적으로 증가해서 십이지장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식도로 역류하게 된다. 특히 눕거나 구부리는 자세로 위 내용물이 식도 가까이에 위치하면 역류가 더 잘 일어난다.
그럼 아기의 위산 역류에는 치료 방법이 없을까? 앞서 블로그 쓴 아줌마의 소아과 의사 말대로 그냥 지나기를 기다려야 하는 걸까?
위산 역류의 원인에서 짐작할 수 있듯 아주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심한 경우에는 어른처럼 약물 치료를 병행해야 하지만 위산 역류의 원인을 방지하는 것 만으로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하니 시도해볼 만한 것 같다.
1. 아기의 눕히려면 아기의 배가 비어 있을 때 눕히자. (The best time to lay your baby on the floor is
when her tummy is empty. i.e. before the feed.)
2. 아기를 눕히려면 옆으로 혹은 배를 아래로 해서 눕혀라. (The position shown to significantly reduce
reflux includes lying on the left side and prone (on her tummy).
3. 편안한 옷을 입히고 특히 허리가 조이는 옷은 입히지 않는다. (Avoid any tight clothing around waist, such as
tight nappies, elastic waistbands.)
4. 식사 중, 식사 후에는 머리를 높이고 앉거나 선 자세를 유지시켜주자. (During and after feeding, have your baby in an
upright position and elevate her head if possible and try to keep them upright
for at least 30 minutes following the feed.)
5. 식사 후에는 불필요한 움직임을 자제시키자. 식사 후에는 차분하게 선 자세를 유지해 트림을 유도한다. (Avoid rough or fast movement or unnecessary
jostling or handling of your baby right after feeding. Baby feels more
comfortable when helped upright much of the time and it helps to burp.)
6. 걸쭉한 분유나 소량의 쌀가루를 넣어 이유식을 조금씩 자주 먹이자. (Thickened feeds may be effective for some
infants and smaller, more frequent feedings can be easier to digest.)
7. 수유 중 아기가 공기를 많이 들이마시지 않도록 아기가 젖꼭지를 잘 물고 있는지 확인한다. (Ensure good latch to minimize air swallowing.)
8. 한쪽 가슴을 다 물린 뒤 다음 가슴을 물린다. 가슴을 갑자기 바꾸거나 너무 자주 바꾸는 것도 구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Allow baby to completely finish one breast (by
waiting until baby pulls off or goes to sleep) before you offer the other.
Switching sides too soon or too often can cause excessive spitting up.)
9. 엄마의 카페인 섭취를 줄인다. 엄마의 과다한 카페인 섭취도 아이의 위산 역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Reduce or eliminate caffeine. Excessive
caffeine in mom’s diet can contribute to reflux.)
10. 과식시키지 말고 아기가 구토를 하거나 구역질을 한다면 바로 먹이지 말고 조금 기다린 뒤 먹인다. (Avoid overfeeding – if your baby vomits, wait
until the next feed rather than feeding her immediately)
11. 아기가 밤에 잠들기 전 1시간 전에는 수유를 하지 않는다. (Don’t feed your baby an hour before she goes to
bed at night.)
기대보다 훨씬 더 많은 소득을 얻은 것 같다. 그 남미 아줌마한테 알려주면 좋아하겠지?
다음 주 금요일이 기대된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